연대로 희망을 만들다

전쟁의 포화소리와 함께 펼쳐지는 거친 돌길을 걸으며
피해자들이 겪어야 했던 전쟁과 고통의 시기로 들어선다.
양쪽 벽면에 걸려있는 피해자들의 그림에 따라 어두운 지하로 향한다.

생존자 지원활동1

1991년 김학순의 공개증언 후 한국정부에는 239명의 일본군'위안부'피해자가 등록되었다. 긴 세월 침묵속에 있던 피해자들의 생활조건은 매우 열악했고 이에 따라 정대협과 국내 시민사회단체는 범국민적 모금을 전개해 생활안정금을 지원했다.

1993년에는 ‘일제 하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생활안정지원법(이후개정)'을 제정했으며 생존자들과 지역사회와의 연계, 각계의 후원을 통해 지원체계를 확대했다. 이밖에도 정서적 치료사업과 쉼터 ‘평화의 우리집' 운영 등을 통해 생존자 지원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생존자 지원활동2

1993년에는 ‘일제 하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생활안정지원법(이후개정)'을 제정했으며 생존자들과 지역사회와의 연계, 각계의 후원을 통해 지원체계를 확대했다. 이밖에도 정서적 치료사업과 쉼터 ‘평화의 우리집' 운영 등을 통해 생존자 지원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생존자 지원활동3

1991년 김학순의 공개증언 후 한국정부에는 239명의 일본군'위안부'피해자가 등록되었다. 긴 세월 침묵속에 있던 피해자들의 생활조건은 매우 열악했고 이에 따라 정대협과 국내 시민사회단체는 범국민적 모금을 전개해 생활안정금을 지원했다.